RadioBOSS를 통해 사용자는 마이크 및 line-in 설정을 구성 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설정은 MIC 버튼 및 DTMF signal detection.(DTMF 신호 감지) 를 위해 Line.IN 파일 로 라인 입력을 재생할 때 사용됩니다 .
마이크 및 라인 입력 설정을 구성하려면 다음과 같이하십시오...
A. 메뉴 모음에서 Settings 설정 > Options...옵션 ...을 선택 합니다 .
Settings 설정 대화 상자가 열립니다.
B. Input 을 클릭하십시오 .
MIC button (마이크 버튼)
이 섹션에서는 "MIC"버튼의 작동 방식을 설정합니다. 버튼은 기본 창의 오른쪽 하단에 있습니다.
①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할 사운드카드 드라이버 장치를 선택 합니다. (DirectSound / WASAPI / ASIO / 윈도우 믹서)
참고: RadioBOSS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방송을 하는 경우 마이크로폰에서 나오는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. "윈도우 믹서 컨트롤"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그러나 외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송하는 경우 윈도우 믹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② Music level (음악 수준): 마이크가 켜져있을 때 재생목록의 볼룸 수준입니다. Fade in/out 은 볼륨이 변경되는 속도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(마이크버튼 사용하여 멘트를 시작하고 끝낼때 재생목록의 불룸 패이드 값을 정의합니다).
③ Mic Amplifier (마이크 증폭): 마이크 볼륨을 높이는 곳입니다 마이크소리가 너무 조용한 경우 먼저 사운드카드 설정을 확인하시고 (Preview(미리보기)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테스트하십시오).
④ Output to encoders only (인코더로만 출력): 활성화하면 스피커나 모니터에서 자신의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. 그러나 방송을 듣는 청취자는 당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.
여전히 에코가 있으면 사운드카드 등록정보에서 마이크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하십시오.
이 옵션이 켜져 있으면 Playback 설정창 맨아래에 "Produce silent output when nothing is playing(아무 것도 재생되지 않을 때 자동 출력 생성)"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⑤ Push-to-Talk: 선택하면 마이크버튼을 누를때만 소리가 전달 됩니다 (마이크버튼 왼쪽클릭 시...)
DSP 버튼은 마이크에 DSP 플러그인을 추가하는 곳입니다.
⑥ Voice activated (음성 활성화): 이 기능을 사용하면 말소리에 자동으로 마이크가 켜집니다.
DSP 버튼은 마이크의 다른 효과를 할당 할 수 있습니다.
MIC버튼을 오른쪽 클릭하여 마이크에 DSP 효과를 할당 할 수도 있고 . 방송용으로 동일한 Winamp DSP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
⑦ Line Input 1 (Line.In file), Input2 (Line2.In)
사용자는 LINE.IN에 대한 드라이버와 장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⑧ Sound Properties: 시스템 사운드 속성 불러오기
⑨ Advanced: 고급설정
Mute monitor sound card when the MIC is on : 마이크가 켜져있을 때 모니터 사운드 카드 음소거
Do not launch events when MIC is on : 마이크가 켜져있을 때 이벤트를 시작하지 않기
⑩ 설정을 다하고 OK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.
마이크 사용하기
RadioBOSS를 사용하면 오디오 재생중에 언제든지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참고: 하드웨어 믹서 보드가있는 경우 마이크를 직접 믹서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MIC 기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
마이크 사용 방법
먼저 마이크 버튼에 적절한 장치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.
클릭... (마이크 꺼짐 모습) 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(마이크 껴짐 모습)
설정에서 MIC버튼 작동의 두 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.
· 켜짐 / 꺼짐: 마이크가 버튼을 누르고있는 동안 작동합니다. (마이크를 끄려면 버튼을 다시 클릭하십시오.)
· Push-To-Talk: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마이크가 작동합니다.